관리현장 이야기
횡주관청소 - 1회성 공사방식에서 유지관리 용역방식으로 바꾸다
용코소장
2023. 2. 3. 09:55
** 횡주관청소를 일회성 공사방식에서
유지관리 용역방식으로 바꾸다 **
횡주관 막힘의 주요 원인
아파트가 오래될수록 배관 내부에 스케일이 많이 발생하여 지하횡주관이 막히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그동안 용코소장의 눈으로 확인한 배관이 막히는 원인은 실로 다양하였다.
세대에서 버린 돼지기름, 화분흙 등으로 하수관이 막혔고,
머리카락, 물티슈 등으로 오수관이 막히기도 하였다.
<배관 내부에서 나온 머리카락 뭉치>
세대에서 검증되지 않은 불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씽크대에 설치하여
제대로 분쇄되지 않은 음식물찌꺼기가 횡주관에 쌓이는 일이 다반사였다.
<음식물찌꺼기로 가득 찬 배관 내부의 모습>
그리고 황당하게도 세대 인테리어 또는 화장실 방수공사 때 남은 백시멘트를 변기에 몰래 버려
지하횡주관 내부에서 백시멘트가 응고되기는 일도 종종 발생하였다.
결국 이런 양심없는 사람들 때문에 전체 주민들이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배관 내부에 응고된 백시멘트 및 배관에서 빼낸 백시멘트 잔해>
세대 베란다 물청소 시 화분의 흙과 기타 불순물이
우수관을 통하여 지하횡주관으로 모여 배관을 막기도 하였다.
<배관 내부에 흙이 쌓인 모습>
각 동에서 지상으로 연결되는 배관이 침하되어 누수되면
물을 향해 뻗은 나무뿌리가 내관 내부에 가득 차서 1층 세대로 오물이 역류하기도 하였다.

<지중 매설배관을 막은 나무뿌리들>
횡주관 역류피해
횡주관이 막히면 지하주차장 천장으로 오물이 떨어지거나 1층세대로 역류하여
주차된 차량과 1층세대에 2차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횡주관이 막혀 지하주차장 천장으로 오수가 떨어지는 모습>
1층세대에서 씽크대나 변기의 물빠짐이 불량하다고
관리사무소에 미리 알려주면 매우 감사한 일이다.
배수구에서 뽀글뽀글 거품이 올라온다고 전화해주면 그야말로 베리굿!
배관막힘의 전조증상을 미리 발견하여 배관 통수작업을 진행하면
세대에 2차피해를 막을 수 있다.
<1층세대 씽크대로 거품이 올라오는 배관막힘 전조증상>
제가 경험한 바로는 따뜻한 여름철보다 추운 겨울철에 횡주관이 더 잘 막히는 것 같다.
아마도 겨울철에는 돼지기름 등의 찌꺼기가 지하횡주관에서 잘 응고되기 때문이리라.
횡주관 막힘 전조증상이 발견되거나 횡주관 막힘사고 발생 시에는
긴급공사로 진행해야 2차피해를 막거나 줄일 수 있다.
몇해 전에 1층세대 씽크대에서 하수가 역류했었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하수가 역류한 날 그 집이 비어있어서 역류사실을 뒤늦게 발견하여 피해가 확산되었다.
결국 거실 전체에 역류된 오수가 가득 차서 거실 마루 전체를 교체해 준 일이 있었다.
<세탁실로 하수가 역류한 세대>
<배관 역류로 주방과 거실이 침수되어 강화마루를 교체해 준 세대>
또 어떤 집에서는 변기로 오물이 역류하여 향기롭지 못한 냄새로 가득 찼고
초파리가 대발생하여 청소비 및 소독비를 변상해 주기도 하였다.
<오수관이 막혀 세대화장실로 오물이 역류한 모습>
<오물이 역류한 세대에 초파리가 대량으로 발생한 모습>
계약방식 변경(공사계약에서 용역계약으로 전환)
본인 용코소장은 전체 횡주관청소를 진행함에 있어 2017년 이전까지는
1회성 공사로 인식하여 1~2년에 한번씩 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했었다.
입찰로 최저가 업체를 선정하다 보니 날림공사를 하는 업체가 부지기수였다.
입찰공고에서 제시한 조건을 이행하지 않아 중도에 계약해지된 업체도 있었다.
<횡주관 청소 중인 작업자의 모습>
물론 횡주관이 막히게 되면 긴급공사로 수의계약을 체결하였지만,
주말이나 연휴기간 중에 횡주관 막힘사고가 발생하면
휴일이 다 끝나고 나서야 통수작업이 진행되곤 하였다.
횡주관이 막히게 되면 급한 쪽은 관리사무소라서
공사금액 및 일정 결정에 있어서 업체에 사정하는 '을'의 입장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런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계약방식을 바꾸기로 하였다.
1회성 공사계약이 아닌 1년 용역계약으로 전환하여 입찰공고를 냈다.
<입찰공고 주요내용> 1. 용역명 : 횡주관 고압세정 및 유지관리 2. 용역범위 : 지하횡주관(하수및 및 오수관) 청소 ① 연 1회 전체 횡주관 청소 실시 ② 관리사무소 요청 시 수시로 막힘배관 통수작업 실시 3. 대금지급 : 매월 지급(전체 금액을 24개월로 분할) 4. 계약기간 : 2년 |
그런데 나의 예상과는 달리
용역계약으로 바뀐 「횡주관 유지관리용역」은
해당업체에게는 별로 인기가 없어 2회 유찰되었다.
2회 이상 유찰이 되면 수의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조건이 되기에
그간 긴급공사 발생 시 한걸음에 달려와 주었던 ○○환경과
횡주관청소용역계약을 체결하였다.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한 ○○환경의 횡주관청소 작업차량의 모습>
잘 하는 업체는 꽤심(?)해서라도 계속 밀어주는 것이 저 용코소장의 지론이다.
그리하여 2018년부터 현재까지 횡주관 청소 및 유지관리업무는 ○○환경이 도맡아 진행하고 있는데,
용역계약으로 전환된 이후 횡주관 역류로 인한 2차 피해세대는 아직까지 단 한건도 없는 실정이다.
◇ 횡주관청소 ◇
1회성 공사로 할 것인가, 용역계약으로 할 것인가?
구 분 | 용역계약 | 1회성 공사계약 |
장 점 | □ 세대 역류사고 사전 방지 가능 (전조증상 발생 시 긴급 조치) □ 우수업체 재계약 가능 □ 관리자 입장에서는 마음이 편하다. □ 용역비 매월 납부 |
□ 비용 저렴 (공사계약<용역계약) |
단 점 | □ 비용 상승 (용역계약>공사계약) | □ 역류 전조증상 발생 때마다 긴급히 업체를 섭외해야 하고, 그때마다 별도의 비용 발생. □ 공사비 일괄 납부 □ 1년마다 입찰 실시 (우수업체 재계약 불확실) |
< 우리단지 횡주관청소 용역 현황>
용 역 명 | 지하횡주관 고압세정 및 유지관리 |
계약 내용 | - 연 1회 전체동 지하횡주관(하수·오수관) 청소 실시 - 분기별 방문 점검 시행 - 역류 전조증상 발생 시 긴급 출동 및 통수작업 실시 |
계약 기간 | 2년 |
계약 금액 | 월 90만원 (부가세 별도) .... 매월 지급 |
용역업체명 | 대진환경 (010-8608-2563) |